돈을 불리기 위한 방법 중 가장 기본이며 기초가 되는 것은 은행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목돈을 모으기 위해서라면 적금, 목돈이 모였다면 예금을 하시면 되는데요. 목돈을 하나의 예금에 넣기 보다는 나눠서 넣는 것이 여러모로 장점이 많습니다. 오늘 글을 통해서 정기 예금 나눠서 넣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볼게요.
✅ 미국 금리 인하시 코인이 상승하는 이유 ✅ 금리 인하와 주가와의 관계 | 주가 상승 요소 4가지 ✅ 2025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방법 6가지 ✅ 2025 기초연금 신청방법 | 기초연금 많이 받는 법 |
정기예금이란
정기 예금은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한 돈에 대해 정해진 이자율을 적용하여 이자를 지급받는 예금 상품입니다.
만기 시에 원금과 이자를 함께 돌려받는 받을 수 있는데요. 예치 기간 동안은 원금을 인출할 수 없고, 만약 중도 해지할 경우 이자가 크게 줄어들거나 아예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기 예금 나눠서 넣어야 하는 이유
위에 말씀드린 예금의 특성으로 인해 예금은 나누어서 넣는 것이 좋습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예금자 보호한도 고려
예금자보호는 내가 돈을 맡긴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국가에서 나의 예금을 보전해주는 제도를 인데요. 25년 기준으로 예금자 보호한도는 1억원입니다. (24년까지 5,000만원)
한 개의 은행에 1억 원 이상 맡긴다면 파산 시에 원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위험 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여러 은행에 분할하여 예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유동성 확보
정기 예금은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묶어두는 형태이므로, 만약 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 불편할 수 있습니다.
1억원을 예금했는데 5천만원이 당장 필요하다고해서 예금을 해지하면 이자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게 되죠. 이런 상황을 대비하여 5000만원씩 금액을 나누어 예금 한다면 이자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금을 나누어 단기, 중기, 장기로 설정하면, 일부 금액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예치해두고, 나머지는 더 긴 기간 동안 예치해두어 필요할 때 자금을 찾을 수 있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위험 분산
금리는 경제 상황에 따라 오를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습니다. 향후 금리 전망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예금을 나눠서 다양한 기간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금리 변동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금액은 고정금리로, 다른 금액은 변동금리로 예치하여 금리가 하락할 때는 변동금리 예금에서 더 많은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정기 예금 반드시 나눠서 넣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여러 은행에 들러 예금하는 절차가 다소 귀찮을 수 있으나 자산을 보전하고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분산하여 예금 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