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유리에 습기 차는 이유는 공기 중의 수분이 차가운 유리 표면에 응결하기 때문입니다. 차량 내부의 온도와 외부 온도 차이가 클 때, 특히 겨울철이나 비 오는 날에 유리 표면이 차가워지면, 내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유리 표면에서 응결되어 물방울 형태로 나타납니다.
아래에서 습기를 차게 만드는 요인과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 자동차 배터리 교체주기는? 교체 안하고 버티면 생기는 일
자동차 유리에 습기 차는 이유
1. 온도 차이로 인한 응결
자동차 유리에 습기가 차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은 온도 차이입니다. 겨울철 외부 기온이 낮고, 차량 내부는 난방 등을 사용해 따뜻해지기 때문에 유리 표면과 차량 내부의 공기 온도 차이가 크게 납니다. 이로 인해 따뜻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유리 표면에 닿으면서 응결이 발생합니다. 공기 중의 수분이 유리 표면에 응결되면 물방울이 생기게 됩니다.
2. 내부 습도
차량 내부의 습도도 습기 차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차량 내에서 호흡을 하거나,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공기 중에 포함됩니다. 또한, 겨울철에는 난방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난방을 사용하면 공기 중의 습기가 차가운 유리 표면에 응결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런 습도는 유리 표면에서 물방울로 나타나게 됩니다.
3. 외부 날씨와 습도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리는 날에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많아지게 됩니다. 비나 눈이 내리면 차량 외부의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며, 이로 인해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커집니다. 외부의 습기가 많은 날에는 차량의 유리 표면이 쉽게 차가워지고, 그로 인해 차량 내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유리 표면에 응결되어 습기가 차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4. 차량 내부 공기 순환 부족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습기가 축적되어 유리 표면에 응결되는 현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에어컨이나 히터를 사용하여 차량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지 않으면, 차가운 공기가 유리와 접촉하게 되어 습기가 차게 됩니다. 차량의 공기 순환 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하면, 습기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외부 기온의 급격한 변화
차량을 장시간 외부에 주차하고 온도 차이가 급격히 변할 경우, 특히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주차했다가 다시 타게 될 때 유리 표면에 습기가 차기 쉽습니다. 차량의 유리가 차가워지면, 내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유리 표면에 응결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리에 물방울이 생깁니다.
6. 차량의 밀폐된 공간
차량은 상대적으로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공기 중의 습기가 쉽게 축적될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외부 공기가 차가워지고, 차량 내 난방으로 인해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서 유리 표면에서 습기가 응결되는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습기 제거 방법
내부 온도차 줄이기
온도차에 의해 습기가 발생했다면 여름에는 히터, 겨울에는 에어컨을 틀어서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차량 내부의 습기가 많아서 발생하는 경우라면 창문을 열어 습기를 공기 순환을 통해 차량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앞 유리의 습기 제거 버튼을 사용하면, 앞 유리쪽의 습기를 건조시켜 유리창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습기 제거제 사용
차량 내 습기 제거제나 탈취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차량 내부의 습도를 줄여주며, 유리 표면에 습기가 응결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습기 제거제를 차량 바닥이나 좌석 밑에 놓으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유리에서 물방울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일상의 천연 제습제로도 활용할 습기 제거를 할 수 있는데요. 커피 찌꺼기를 천 주머니에 담아 차량 내부에 두면 습기 제거와 함께 냄새도 없애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숯은 습기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공기 정화에도 도움을 줍니다. 숯이 습기를 흡수한 후에는 햇볕에 말려 다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합니다.
차량 유리 유막 제거
유막현상은 먼지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유리창에 이물질의 유분이 쌓여 얇은 기름막을 형성하는 현상입니다. 유막이 있으면 얼룩이 생기기 쉽고, 비가 올 때 빗물이 잘 흘러내리지 않아 시야를 방해하게 됩니다.
여기에 습기까지 차면 상황은 더 나빠집니다. 따라서 습기가 차기 전에 유리창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차할 때 유막 제거제를 사용하거나, 치약을 활용해 유막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치약을 젖은 수건에 묻혀 유리창을 닦으면 유막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자동차 유리에 습기 차는 이유와 제거 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