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세대수가 적으면 안좋은 이유 4가지

아파트 구매 시에는 되도록이면 세대수가 많은 곳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세대수가 적은 경우 발생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 글을 통해서 아파트 세대수가 적으면 안좋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용적률 높으면 안 좋은 이유
친환경차 주차구역 위반시 과태료 얼마일까
서울 급지 순위 | 통계로 보는 순위 | 22년 23년 24년
서울 물가 비싼 이유 2가지

아파트 세대수란?

아파트 세대수란, 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주거용 세대의 총 개수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세대”는 한 가구가 거주하는 주거 공간을 말하며, 하나의 세대는 일반적으로 한 가구가 거주하는 단위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아파트 세대수는 해당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는 총 가구 수를 나타냅니다.

  • 만약 10층 건물에 4개의 세대가 각 층에 배치되어 있다면, 그 아파트 단지의 세대수는 40세대(10층 × 4세대)입니다.
  • 세대수는 아파트의 크기나 층수에 따라 달라지며, 단지 내에 있는 아파트의 모든 세대가 포함됩니다.

아파트 세대수가 적으면 안좋은 이유 4가지

실거주 목적이든 투자이든 간에 아파트 구매 시에는 세대수가 많은 곳으로 선택하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몇 가지가 있는데요.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1. 관리비 증가

아파트에는 내가 살고 있는 집 공간만 있는 것이 아니고 커뮤니티, 조경 등의 공용 시설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공용시설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죠. 그리고 이 비용은 전체 세대수가 나누어서 내게 됩니다.

그런데 세대수가 적다면? 내가 내야 할 공용 관리비가 늘어납니다.

2. 적은 거래량

세대수가 적을 수록 매매 또는 전세 거래량이 적습니다. 이 말은 내가 팔고 싶을 때 팔기 어렵고 사고 싶을 때 사기 어렵다는 뜻이 됩니다.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시세대로 흐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상승기에 거래가 하나도 없는 경우 시세가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몇몇 집의 거래로 인해 가격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죠. 급매 하나가 아파트 가격의 전반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단지인 경우는 튀는 가격들이 다수의 거래로 보정 되면서 결국에는 아파트 평균가를 바탕을 거래 가격이 수렴하게 됩니다.

3. 부족한 커뮤니티 시설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들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 요소 중 하나 인데요. 세대 수에 따라서 법적으로 특정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리고 세대수가 증가할 수록 설치해야할 시설의 종류도 늘어나게 되죠. 세대수가 적다면? 당연히 커뮤니티 시설이 없을 수 밖에 없습니다.

  • 150세대 이상: 경로당, 어린이 놀이터
  • 300세대 이상: 경로당, 어린이 놀이터, 어린이집
  • 500세대 이상: 경로당, 어린이 놀이터, 어린이집, 주민운동시설, 작은 도서관, 다함께 돌봄센터

4. 주변 상권

세대 수가 적으면 주변 상권 발달이 느리거나 부재할 수가 있습니다.

세대 수가 많다는 것은 상품을 구매할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죠. 따라서 세대수가 적은 곳보다 많은 곳에 상권이 형성될 수 밖에 없습니다. 아파트 주변으로 상권이 발달되면 편의성이 높아지고 이는 또 아파트 가격 상승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아파트 세대수가 적으면 안좋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매수는 상당히 큰 금액이 들어 가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