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생활주택이란? | 장점과 단점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무엇일까요? ‘도생’이라고 불리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특징종류 그리고 장점과 단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투자나 실거주를 위한 구매시 저렴하다고 무턱 구매하기보다는 조금더 면밀히 공부한뒤 구매하실 권장드립니다.

아파트 세대수가 적으면 안좋은 이유 4가지
아파트 용적률 높으면 안 좋은 이유
서울 급지 순위 | 통계로 보는 순위 | 22년 23년 24년
친환경차 주차구역 위반시 과태료 얼마일까
2025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방법 6가지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도시형 생활주택은 도시에 지을 수 있는 공동주택의 일종입니다. 공동주택에는 아파트,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등이 있고 도시형 생활주택도 공동주택에 포함되는 종류 중 하나 입니다.

  • 300세대 미만
  • 전용면적 85제곱 이하
  • 지하층 세대 설치 불가

09년도에 처음 도입되었고 주택으로서 갖추어야할 기준들을 완화하여 많은 주택 보급에 그 목적이 있었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 종류

도시형 생활주택은 다시 3가지 종류로 나뉘는데요.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소형 주택 (구 원룸형)으로 분류됩니다.

  • 단지형 연립주택: 전용면적 85제곱 이하 , 연면적 660제곱 초과 건축물
  • 단지형 다세대주택: 전용면적 85제곱 이하, 연면적 660제곱 이하 건축물
  • 소형 주택: 전용면적 60제곱 이하, 욕실과 부엌 설치 등

여기서 소형 주택의 장점은 주차 대수에 대한 기준 완화입니다. 일반 공동주택은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 확보되어야 하는 반면 도시형 생활주택의 소형주택은 주차대수가 0.5대가 되어도 건축 허가가 난다는 것이 상당한 장점입니다.

도시형 생활주택 장점과 단점

이러한 도시형 생활주택은 장점과 단점이 뚜렷합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에 투자하기전에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알고 가세요.

도시형 생활주택 장점

  • 청약 통장 없이 분양 가능
  • 오피스텔에 비해 전용률이 높고 발코니 설치 가능
  • 아파트에 비해 저렴

도시형 생활주택 단점

  • 일반주택에 비해 조경 / 편의 / 커뮤니티 시설 부족
  • 주차공간 부족
  • 각 동간 이격거리 규정 완화로 일조권 확보 되지 않을 수 있음

마치며

도시형 생활주택의 핵심은 주택 보급을 위하여 일반 공동주택 설치시 적용되는 기준들을 완화하였다는 것입니다.

그 완화된 기준으로 인해 장점과 단점이 발생하는 것이니 투자 또는 실거주 전에 특징들을 잘 살펴보고 선택하시길 권장드립니다.